췌장염(Pancreatitis) 케이스 스터디
NAME: OO |
BIRTH DATE: 1940/OO/OO |
AGE: 76세 |
SEX: male |
입원일: OOOO/OO/OO
|
진단명: Acute pancreatitis |
입원경로: ■ 외래 □ 응급실 □ 기타 |
||
입원방법: ■ 도보 □ 휠체어 □ 눕는차 □ 안겨서 옴 |
||
입원 시 활력징후: BP 145/60mmHg P 60회/min R 18회/min T 36.3℃ |
||
신장 156.0cm 체중 52.7kg 혈액형 O RH+ |
||
입원동기: 2-30년 전 DM 진단받아 po Tx 하던 자로 내원 3일 전부터 abd pain 호소하여 연고지 관계로 opd-adm |
||
주 증 상: abd pain |
||
발 병 일: OOOO년 OO월 OO일 |
현재 복용하는 약: - |
과거병력: DM |
알레르기 : ■ 무 □ 유: 약물 음식 기타 |
가족병력 : ■ 무 □ 결핵 □ 당뇨 □ 고혈압 □ 종양 □ 기타 |
호흡기 장애: ■무 □호흡곤란 □청색증 □가래 □기침 □객혈 □이상호흡음 |
순환기 장애: ■무 □심계항진 □흉통 □청색증 □부정맥 □호흡곤란 □식은땀 |
소화기 장애: ■ 무 □ 소화장애 □ 복부팽만 □복통 □오심 □구토 □장음소실 |
통증: ■ 무 □ 유(부위: □ 머리 □가슴 □등 □팔 □다리 □회음부 □둔부) |
부종: ■ 무 □ 얼굴 □ 안검 □ 하지 □ 전신 □ 기타 |
치아상태: ■ 양호 □ 충치 □ 유치 □ 영구치 □ 기타 |
피부상태: ■정상 □두드러기 □황달 □ 양감 □발진 □물집 □욕창 □반점 □발한 |
시력장애: □ 무 ■ 안경 □ 콘텍트렌즈 □ 의안 □ 기타 |
청력장애: ■ 무 □ 청력저하 □ 이명 □ 청각시설 □ 보청기 □ 기타 |
배설상태: 대변 1회/1일 양상 : ■정상 □설사 □변비 □혈변 □점액변 □기타 |
소변 5회/1일 양상: ■정상 □빈뇨 □핍뇨 □배뇨곤란 □야뇨 □실금 □ 방뇨 □ 기타 |
식사습관: □ 모유 □ 우유 : 종류 ■ 고형식, 특별한 습관 |
지남력: 사람 ■ 유 □ 무 |
장소 ■ 유 □ 무 |
시간 ■ 유 □ 무 |
의식상태: ■ 명료 □ 혼돈 □ 반의식 □ 무의식 |
||
정서상태: ■ 안정 □보챔 □ 불안 □ 우울 □ 분노 □ 기타 |
||
활동정도: □Grade 0 □Grade 1 □Grade 2 □Grade 3 □Grade 4 ■해당없음 |
||
건강회복에 대한 인식(병식): □ 무 □ 유 ■ 해당없음. |
||
보호자의 병식: □ 무 ■ 유 |
||
|
||
④ 건강회복에 대한 기대: 환 자: □ 희망적 □ 보통 □ 절망적 ■ 해당없음 |
||
보호자: □ 희망적 □ 보통 □ 절망적 ■ 해당없음 |
||
친구관계: □ 원만 □ 어려움 □ 고립 ■ 해당없음 |
||
특별한 버릇 : - |
일반혈액검사
항목 |
정상범주 |
검사결과 |
임상적 의의 |
||
1 |
2 |
3 |
|||
WBC count
|
4.0~10.0x10⌃3/μL |
4.22 |
3.56 ▼0.44 |
3.78 ▼0.22 |
증가: 감염, 조직 괴사, 염증, 갑상선 중독, 스트레스, 출혈, 스테로이드 사용 감소: 골수부전, 심한 감염, 식이 결핍, 자가면역질환, 골수 침윤 |
RBC count
|
4.2~6.3 x10^6/μL |
4.13 ▼0.07 |
4.31 |
4.10 ▼0.10 |
증가 : 심한 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다혈구혈증, 이차성 다혈구혈증 감소 : 빈혈, 골수기능부전, 출혈, 용혈성 빈혈, 에디슨 증후군, 류마티스열 |
Hb
|
13~17g/dL |
13 |
13.5 |
12.7 ▼0.3 |
증가 :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심부전 감소 : 빈혈, 갑상선기능항진증, 간경화, 임신, 심한출혈
|
Hct (Hematocrit) |
39~51% |
37.5 ▼1.5 |
39.4 |
37.2 ▼1.8 |
증가 : 적혈구증가증, 다혈구혈증, 탈수 감소 : 빈혈, 백혈병, 간경변증, 갑상선기능항진증, 급성 중증출혈,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
Lymphocyte % |
17~46% |
33.9 |
46.6 ▲0.6 |
44.7 |
증가 : 만성 세균성 감염, 바이러스성 감염, 림프구성 백혈병, 방사선 감소 : 백혈병, 패혈증, 면역결핍성 질환, HIV, 방사선 치료 |
platelet |
130.0~400.0x10⌃3/μL |
91 ▼39 |
119 ▼11 |
129 ▼1 |
감소 : 적혈구부동증, 대적혈구 빈혈, 소적혈구 빈혈 |
MONO. |
3~8% |
15.4 ▲7.4 |
11.0 ▲3.0 |
11.1 ▲3.1 |
증가 : 감염(결핵, 말라리아, 로키산반점열), 교원질성 혈관질환, 단핵구성 백혈병 감소 : 약물요법, prednisone |
일반화학검사
항목 |
정상범주 |
검사결과 |
임상적 의의 |
||
1 |
2 |
3 |
|||
Glucose |
70~110mg/dL |
159 ▲49 |
163 ▲53 |
146 ▲36 |
증가 : 당뇨병, 급성 스틀스, 쿠싱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췌장기능부전 감소 : 당뇨병 치료 시 인슐린 과량 사용한 경우 |
GGT (gamma-GT) |
11~64IU/dL |
70 ▲6 |
69 ▲5 |
60 |
증가 : 폐쇄성 황달, 간암, 담관암, 췌장암, 담석증, 원발성 간암, 알콜성 간장애, 간염, 간경화증 |
AST |
0~40IU/L |
74 ▲34 |
145 ▲105 |
71 ▲31 |
증가 :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 체질성 황달, 폐색성 황달, 패혈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감소 : 간괴사 |
ALT |
0~40IU/L |
81 ▲41 |
80 ▲40 |
59 ▲19 |
증가 : 급성 간염, 간경변, 폐색성 황달, 췌장염 감소 : 간괴사 |
LDH (Lactate dehydrogenase) |
120~250IU/dL |
531 ▲281 |
447 ▲197 |
358 ▲108 |
증가 : 혈류장애, 뇌혈관병변, 용혈성 빈혈, 간염, 근육손상, 종양 및 조직괴사 |
Lipase |
13~60U/L |
272 ▲212 |
148 ▲88 |
106 ▲46 |
증가 : 급성췌장염, 췌장암, 대장경색, 췌장낭종, 위궤양 감소 : 만성췌장염, 췌장전적 |
투약
상품명(성분명) |
용량/용법 |
트라마돌염산염으로써 1회 50~100mg을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한 후 필요에 따라 4~5시간마다 반복주사한다. (신기능 또는 간기능 장애 환자에서는 이 약의 배설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환자에서는 투여간격의 연장을 고려하여야 한다.) |
Tridol inj. 50mg (tramadol 50mg/1ml/A)
|
효능/효과 |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동통(각종 암 등), 진단 및 수술 후 동통 |
부작용 |
발작, 과민증, 심계항진, 냉한, 흉내고민, 혈압저하, 부정맥 안면 창백, 졸음, 두통, 우울, 구역, 배뇨장애 스티븐스-존슨증후군, 의존성, 발열 등 |
|
금기 |
급성 알코올중독 환자 수면제, 진통제, 아편, 항정신성 약물 등 중추신경계 적용약물 중독 환자 심한 호흡억제상태 환자 두부손상, 뇌의 변병이 있는 경우로 의식혼탁의 위험이 있는 환자 MAO저해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자 또는 최근 14일 이내에 투약한 경험이 있는 환자 |
상품명(성분명) |
용량/용법 |
과민성 대장통증을 동반한 위장관경련 : 시메트로퓸브롬화물으로써 1회 5mg을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검사 전 투약 : 이 약으로써 1회 10mg을 40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
Bropium inj. 5mg (cimetropium 5mg/ml) |
효능/효과 |
위장관계의 경련 및 기능적 운동장애 소화관 내시경 검사 전 투약 : 십이지장의 무긴장증과 오디괄약근의 이완 |
부작용 |
비경구적 투여 후 일시적인 구강건조 고용량 사용 시 눈의 조절장애 및 빈맥을 동반한 심계항진, 감각장애 배뇨곤란, 안압상승, 두통, 어지럼, 안면홍조, 다행증, 졸음, 무력증, 변비, 구역, 알레르기성 피부반응 |
|
금기 |
항히스타민제, 페노티아진계 약물, 삼환계 항우울약 및 항콜린성 약물과 같은 다른 약물과의 병용투여 이 약의 주성분 또는 기타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전립샘 비대증 환자, 녹내장 환자, 요저류 환자 유문협착 등 위장관의 기능장 협착 환자 마비성 장폐색 환자, 거대 결장증 환자 역류성 식도염 환자, 중증 근무력증 환자 |
상품명(성분명) |
용량/용법 |
성인 : 글리클라지드로써 1일 1회 30~120mg을 혈당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여 아침에 경구투여한다. 이 약을 부수거나 씹지 말고 삼키는 것이 권장된다. 약물 복용을 잊은 경우라도, 다음날의 복용량을 증량하지 않는다. 다른 혈당강하제와 같이 복용하는 경우에는 환자개인의 대사반응(혈당, 당화 혈색소)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
Diamicron MR Tab. 30mg (gliclazide MR 30mg) |
효능/효과 |
제 2형 당뇨병(식사요법, 운동요법으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한함.) |
부작용 |
저혈당 : 무력감, 고도의 공복감, 진전, 두통, 지각이상, 흥분, 집중력 저하, 공격성, 구역, 구토, 권태, 수면장애, 인지력 감소와 느린 반응, 우울증, 혼란, 시각 및 언어장애, 실어증, 어지럼증, 자기통제력 상실, 섬망, 얕은 호흡, 서맥, 졸음, 의식장애, 경련 등 혈액학적 변화(약물치료 중단 시 가역적) |
|
금기 |
당뇨성 케톤산증, 당뇨병성 혼수 또는 전혼수 제 1형 당뇨병 환자 중증 간 또는 신기능 장애 환자 중증의 감염증, 중증의 외상, 수술 전 후의 환자 설사, 구토 등 위장장애 환자 이 약의 성분, 설포닐우레아계 약물, 설폰아미드계 약물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 미코나졸 투여 환자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환자 |
간호문제
① 감염과 관련된 급성통증
②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 불충분
③ 불확실한 질병 예후와 관련된 불안
간호과정
간호진단 |
#2.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
|||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안 아프다가 갑자기 아프고 그래.” “쿡쿡 쑤시는 것 같아.” |
||
객관적 자료 |
NRS scale 3점 찡그리는 표정을 지음. 통증을 호소함. |
|||
간호목표 |
NRS scale 1점 이하로 유지한다. 환자 스스로 아프지 않다고 말한다. |
|||
간호 계획 |
간호 수행 |
이론적 근거 |
||
통증을 사정한다. |
통증강도 NRS scale 3점 통증양상 : tingling 위치 : abd. 빈도 : 간헐적 |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통증의 특성과 위치 사정은 진단에 도움을 준다. |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활력징후를 6시간마다 측정했다. BP 140/60 P 60 R 18 BT 36.8 |
기본적인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
||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며 통증 부위를 적절히 지지한다. |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침상 높이를 조절했다. |
지지는 통증을 감소시킨다. |
||
통증 완화약물을 투여한다. |
처방에 따라 Tridol inj.을 투여했다. |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
||
간호 평가 |
“처음보단 별로 안 아픈 것 같아” 통증 강도 NRS scale 3점에서 2점으로 내려갔다. |
간략하게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