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피계통 의학용어 integumentary system term
이번 포스팅에선 외피계통 의학용어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언제나 그랬듯이 중요한 용어만 보고 가겠습니다.
외피계통: 피부, 샘, 털, 손발톱으로 구성
역할
보호막
수분손실 방지
자외선 보호
체온조절
비타민D 합성에 관여
melanin |
멜라닌 |
피부의 색소(pigmentation) |
sudoriferous glands |
한선(땀샘) |
꼬여있는 작은 관 모양의 구조물로, 작은 구멍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열리며 땀을 배출한다. |
keratin |
각질 |
표피층의 각질화된 섬유단백질 성분으로 털과 손발톱에도 들어 있다. |
dermatitis |
피부염 |
피부의 염증이다. |
dermatoconiosis |
피부진폐증 |
먼지의 국소적인 자극에 의해 생긴 피부염이다. |
dermatofibroma |
피부섬유증 |
피부의 섬유성종양을 말한다. |
leukoderma |
백색피부증 |
피부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색소결실(depigmentation)이다. |
onychocryptosis |
감입발톱 |
발톱의 한쪽 또는 양쪽 가장자리가 인접한 연조직 내로 깊이 파고 들어간 상태이다. |
onychomycosis |
손발톱진균증 |
진균에 의해 발생하는 손발톱의 질환을 말한다. |
paronychia |
손발톱주위염 |
손발톱 주위에 발생한 염증이다. |
seborrhea |
지루 |
피지선의 분비물이 과도한 상태이다. |
xeroderma |
피부건조증 |
피지나 땀의 분비가 감소되어 피부가 건조하고 꺼칠꺼칠한 상태이다. |
abrasion |
찰과상 |
마찰이나 손상에 의해 피부가 벗겨진 상태이다. |
abscess |
고름집(농양) |
고름이 국소부위에 고인 것이다. |
acne |
여드름 |
피지선과 털주머니(모낭)를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 |
sebaceous glands |
피지샘 |
털주머니(모낭)로 피지를 분비하는 샘으로 털줄기(모간)를 따라 피부 밖으로 분비된다. |
basal cell carcinoma(BCC) |
기저세포암종 |
표피에 발생하는 상피종양으로 햇빛에 과도하게 노출을 한 사람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전이는 드물다. |
candidiasis |
칸디다증 |
효모형진균인 칸디다 알비칸스에 의해 피부, 입, 질 등에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식도성 칸디다증은 종종 AIDS 환자에게 나타난다.
|
cellulitis |
연조직염 |
감염에 의한 발적, 종창, 발열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와 피하조직의 염증이다. |
contusion |
타박상 |
피부가 터지지 않은 채로 손상을 입은 것으로, 통증, 종창, 피부변색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멍을 말한다. |
eczema |
습진 |
비감염성의 염증성피부질환을 말하며, 발적, 물집, 딱지, 가려움증(itching)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gangrene |
괴저 |
혈액공급이 되지 않거나 세균때문에 비교적 큰 덩어리 조직이 죽는 현상을 말한다. 괴사의 한 형태를 말한다. |
herpes |
헤르페스 |
구순포진을 유발하는 단순포진과 바이러스에 감염된 신경을 따라 통증을 동반한 피부융기가 특징인 대상포진 등이 대표적이다. |
infection |
감염 |
병원체가 신체조직에 침입한 상태로 급성감염은 우리 몸의 방어기전에 의해 무력화되거나 또는 병원체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 아급성(subacte)이나 만성으로 발전할 수 있다. |
Kaposi sarcoma |
카포시 육종 |
보통 하지에 자색 또는 갈색의 구진으로 시작하는 악성종양이다. 피부를 통해 림프절과 내장으로 퍼지며 흔히 AIDS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
laceration |
찢김(열상) |
찢어지거나 가장자리가 너덜너덜한 상처다. |
lesion |
병변 |
손상이나 질병에 의한 눈에 보이는 조직의 변화를 말한다. |
MRSA infection |
메치실린내성황색 포도상구균감염 |
메치실린이나 다른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균주의 하나인 메치실린내성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신체조직으로 침입한 상태를 말한다. 피부와 연조직 감염을 유발하고, 종종 폐렴을 일으키기도 하며 치료되지 않으면 치명적이다. |
squamous cell carcinoma(SqCCA) |
편평세포암종 |
비늘모양(scalelike)의 상피조직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기저세포암종과는 달리 전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햇빛에 만성적으로 피부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SLE) |
전신홍반루푸스 |
피부, 관절, 신장, 신경계통을 침범하는 만성염증질환으로, 악화와 소강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자가면역질환 중의 하나이다. |
urticaria |
두드러기 |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부스럼으로 이루어진 피부발진이다. 심할 경우 기도를 막아 응급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두드러기는 물리적인 자극이다 유전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
biopsy |
생검 |
생체조직을 외과적으로 절취하여 육안이나 현미경을 통해 조사하는 방법이다. |
dermatoautoplasty |
자가피부이식술 |
피부가 결손된 부위에 환자 자신의 신체 일부분의 피부를 이식하는 방법이다. |
dermatoplasty |
피부성형술 |
질병 또는 손상에 의해 결손된 신체부위에 피부를 이식하는 수술이다. |
cauterization |
지짐술(소작술) |
열이나 냉, 전류, 또는 소작제를 이용하여 조직을 파괴하는 것이다. |
debridement |
죽은조직제거술 |
개방상처로부터 오염되거나 괴사한 조직, 또는 이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
incision and drainage(I&D) |
절개배액술 |
병터를 절개하여 그 속의 액체를 빼내거나 또는 액체가 자유롭게 흘러나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
laser surgery |
레이저수술 |
고에너지광속을 방출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조직을 자르고, 태우며, 증발시키고, 파괴하는 것이다. |
suturing |
봉합술 |
상처의 가장자리를 외과적으로 꿰매는 것이다. |
dermatology |
피부과학 |
피부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
necrosis |
괴사 |
생체 내 국소조직 또는 세포의 죽음을 말한다. |
percutaneous |
피부경유의(경피의) |
피부를 통해 행하는 것을 말한다. |
subcutaneous(subcut) |
피부밑의(피하의) |
피부 아래에 관련된 것을 말한다. |
bacteria |
세균 |
세포분열로 생식하는 단세포미생물로, 신체조직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
cyst |
낭종, 물혹 |
액체나 반고형의 물질을 담고있는 주머니이다. |
cytomegalovirus(CMV) |
거대세포바이러스 |
면역계통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병을 유발하는 헤르페스형 바이러스이다. |
ecchymosis |
반상출혈 |
반점으로 나타나는 출혈의 한 형태로, 피부나 점막에 자색 또는 푸른색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타박상이 가장 흔한 출혈의 원인이지만 바늘과 주사기를 이용해 채혈을 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
edema |
부종 |
액체가 축적되어 조직이 불푸어 오른 상태이다. |
fungus |
진균 |
환경으로부터 유기분자를 섭취하며 살아가는 생물로, 단세포진균인 효모는 출아를 통해, 다세포진균인 곰팡이는 포자형성을 통해 생식한다. |
induration |
경화 |
부드러운 조직이 단단해지는 병적 상태이다. |
jaundice |
황달 |
피부 및 점막이 황색을 나타내는 병적 상태 |
keloid |
흉터종, 켈로이드 |
피부의 흉터조직이 이상증식하여 단단하게 융기한 것이다. |
nevus |
모반 |
보통 갈색이나 검은색, 또는 살색으로 나타나는 피부의 점, 선천모반은 출생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출생점(birthmark)이라고도 한다. |
nodule |
결절 |
작은 매듭모양의 덩어리를 말한다. |
pressure ulcer |
욕창궤양 |
뼈 돌출 부위에 나타나는 피부염증 및 궤양으로, 장기간의 압박에 의해 발생하며, 누워만 있는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
ulcer |
궤양 |
피부나 점막조직의 괴사에 따른 염증상태를 말한다. |
virus |
바이러스 |
독립적인 대사작용의 결여로 살아있는 숙주세포내에서만 생식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미생물이다. |
|
|
|
약어 |
|
|
BCC |
기저세포암종 |
basal cell carcinoma |
bx |
생검 |
biopsy |
CMV |
거대세포바이러스 |
cytomegalovirus |
I&D |
절개배액술 |
incision and drainage |
MRSA |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SLE |
전신홍반성루푸스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SqCCA |
편평세포암종 |
squamous cell carcinoma |
subcut |
피하의 |
subcutaneous |
TD |
경피의 |
transdermal |
CA-MRSA |
지역사회관련 MRSA감염 |
community-associated MRSA infection |
HA-MRSA |
병원관련 MRSA감염 |
healthcare-associated MRSA inf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