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로이의 적응이론 adaptation theory
로이의 적응이론 adaptation theory
투입->과정->영향요인->산출
인간은 하나의 체계로써 주위환경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자극을 받으며 이러한 자극에 대해서 내부과정인 대처기전을 활용하여
적응양상을 나타내고 그 결과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개 념 |
내 용 |
인간 |
변화하는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생물적 심리적 사회적인 존재 |
환경 |
인간의 행위와 발달과 관련된 주변을 둘러싼 모든 상태 또는 상황 |
간호 목표 |
인간이 통합된 총체적 상태인 적응의 상태 유지 |
간호 활동 |
자극 감소, 내적과정인 적응양상에 영향을 주어 인간이 적응 반응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돕는 것 |
1) 자극
인간의 행동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모든 상황인 주위 여건이나 인간 내부에서 일어나는 상태 변화
(1) 초점자극: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사건이나 상황 변화(국가고시를 본다거나 임신을 했다거나)
(2) 연관자극(관련자극): 현재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초점 자극 외의 모든 자극(전반적인 건강상태, 가족들의 지지)
(3) 잔여자극: 인간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태도, 신념, 성격, 습관 등
2) 대처기전
(1) 조절기전 : 화학적, 내분비계 반응을 통한 자율적 대처기전, 무의식적이고 반사적인 반응, 생리적 적응양상과 관련이 있다.
(2) 인지기전: 인지적 정보처리, 학습, 정서 등을 통한 대처기전, 자아개념과 역할기능, 상호의존 적응 양상과 관련
3) 적응양상
(1) 생리적 기능양상: 자극에 대한 신체적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적응양상 주로 기본 욕구에 대처한다.
(2) 자아개념 양상: 자극에 대한 정신적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적응양상, 신체적 자아와 개인적 자아로 구분한다.
(3) 역할 기능 양상: 자극에 대한 사회적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적응양상으로 환경 내 다른 사람과 작용하고 적절한 역할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4) 상호의존 양상: 사회적 통합성 중에서도 특히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적응양상으로 상호 의존감은 독립심과 의존심 사이의 균형으로 의미 있는 타인이나 지지체계
와 관계, 사랑, 존경, 가치를 주고받는 것과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