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지
-
케인스의 예언을통해 바라보는 메타버스(kb증권)라이프 2021. 8. 23. 14:15
매우 읽어봄직한 글 투자와 연관해봐도좋고 그냥 재미로봐도 굉장히 흥미롭다. 경제발전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아주 기초적인 질문이지만.. 짚고 넘어가보자면 1) 16세기에 시작된 자본의 축적 2) 17세기에 시작된 기술의 발전 그래프로보면 이게 얼마나 대단한건지 다시금 깨닳을 수 있다. 17세기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엄청난 경제성장을 이루어냈다. 케인즈의 예언은 크게 3가지인데 여기서는 두가지가 나와있다. 1.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시대가 올 것이다. 2. 사람들은 여가시간동안 '즐거움' '아름다움'을 추구할 것이다. 3. 화폐를 소유물로 사랑하는 정신병이 사라지고 '선한 것'에 주목하는 세상 어쨌든 우리가 포인트를 가져가야 할 문제는 두번째이다. 실제로 우리의 주당 근로시간은 점차 줄어들 것이며..
-
엔씨소프트 2021 3월 IR주식/엔씨소프트 2021. 4. 21. 23:19
엔씨가 조금 특이한게 영문 IR이랑 국문 IR이랑 조금다름 투자 초기에 안눌러봤으면 모를뻔했으나 눌러보니 좀 다르더라.. 사실 이제와서 작년 4분기 실적과 2020fy를 얘기하는것은 늦은감이있겠으나 어차피 장기적으로본다면 이번 1분기 실적이 의미가 크게 있나싶다. 잘안나와서 공매도 겁나때리면 뭐.. 땡큐고 일단 유저수가 증가한다는 새로운표가 나왔다. 원래 처음에는 유저수가 아니라 시장크기 이런거 나왔었는데... 어쨌든 시장이 점점 커지는중인 게임시장 그와중에도 모바일의 비중은 점점 중요해지고있으며 서구권에서는 여전히 콘솔도 중요함 결론은 크로스플랫폼이 필요한시대.. 슈카도 자주얘기했던 거 같은데 이제는 클라우드게임의 시대가 올거라고 휴대폰이든 노트북이든 pc든 어떤 플랫폼으로도 게임을 할 수 있는거말이다..
-
엔씨소프트(036570) 4Q20 리뷰주식/엔씨소프트 2021. 3. 4. 17:42
연도별로 한번 봐보자 리니지2M의 성과가 엄청나게 눈에띈다. 리니지IP가 가지는 성공흥행보증수표를 보지못한 나에게 또 죄책감이 ㅠ 블소랑 아이온은 믿어보려고 투자는했지만 금액이 또 너무 적었고~ 아무튼 문제가 많은 사람이다 내가 안그런 게임회사가 어디있겠냐마는.. 요즘 게임회사가 PC로 돈버는 세상은 지났고 다 모바일로 돈을 벌어서 기형적인 구조가 나오고있다. 린M 린2M 다합친게 지금까지의 엔씨 모든 매출을 뛰어넘을정도라니 그래프를 같은 선상에 놔서 그렇지 그냥 모바일이 다하고있음 ㅋㅋㅋ 그와중에 PC게임은 리니지말고 다 몰락중인데 개인적으로 IP의 힘이 아이온이나 블소가 리니지보단 약할 것이라 생각함 엔씨의 리스크라고 생각되는부분 바로 한국에 치중된 매출구성인데 대만에서 천당M이 잘나가고있지만 감마니..
-
엔씨소프트(036570) 출시지연이슈주식/엔씨소프트 2020. 10. 6. 13:05
이베스트 투자증권의 성종화 애널리스트의 보고서가 나왔다 1) 리니지2m의 하향안정화 과정동안의 실망감(?) 2) 블소2, 리니지2m 대만 출시일정 조정 매출액은 소폭상승하나 영업이익은 flat 또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 블소2 출시, 리니지2m대만 런칭일정이 1-2개월 정도 조정될 가능성이 존재 그러나 가치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내용은 아님 (근본적인 가치는 변함 없으나) 목표주가는 125만원에서 110만원으로 12% 하향 (?) 이베스트 괴리율 조정 규정에 따른 것이라고함 아무래도 엔씨하면 국내라 해외매출을 눈여겨보게되는데 리니지m 대만(로열티)이 생각보다 돈을 못번다.. 아무리 그래도 pc리니지만도 못하다니 해외매출추이를 잘 봐야겠다. 어느정도 크기가 있는 기업이라 이제는 해외매출성장이 견인되지 ..
-
엔씨소프트(036570) 숫자 그 너머에 있는 것주식/엔씨소프트 2020. 4. 25. 09:56
엔씨소프트 나는 가져본적이 없는 종목이지만 리니지m이 대박이나면서 지금까지 승승장구한 게임회사이다 내가 게임 주식을 좋아하는 이유는 그냥 그 게임이 잘되면 주가도 같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내가 게임에 조예가 깊은 것은 아니지만 그냥 게임을 조금 좋아하는 입장에서 내가 모르는 산업에 비해서는 접근하기 쉬워서 그런게 아닐까라는 생각이든다 처음 엔씨소프트에 손이 안갔던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비쌌기 때문이다 5년 per가 26배나된다. 아직도 그렇지만 per이 20배가 넘어가는 종목을 덜컥 덜컥 사기란 쉽지가 않았다 심지어 떨어져가고 있는 것도 아니고 계속해서 올라갔기 때문에 사기가 쉽지가 않았다 그리고 아직은 자본금이 적어 꾸준히 분할매수하는 나로서는 60만원이라는 돈이 분할매수하기에 큰 금액이라는 것이다 아..
-
엔씨소프트(036570) 지금이 제일 싼 기업인가?주식/엔씨소프트 2020. 2. 12. 04:14
엔씨소프트가 실적을 미리 발표했다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15%이상 변동이 생겨서 그런듯하다 실적이 내 예상과 다르게 그리 좋지못하다 순이익이 전년대비 -14%가 된다 사유는 로열티 매출의 감소라고 한다 엔씨소프트는 3년간 상승률이 어마무시했다 무려 26만원에서부터 시작해서 67만원까지 고공행진을 했다 19년 당기순이익은 저게 아니고 3600억이라고 보는게맞다 3600억이 순이익이라 하였을 때 현재 시총 14조면 per가 38이다 정말 비싸긴 드럽게 비싼 주식이다 내가 한가지 간과한 것이 있다면 엔씨 매출의 대부분이 한국인 것을 생각하고 해외매출이 적다는 생각을했는데 어차피 중국의 판호를 제외하고는 korea 시장이 생각보다 작지 않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표를보면 리니지m을 통해 엄청난 성장을 이루어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