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10일 인상깊은 뉴스 - 주담대, 삼성전자 슈퍼개미, 한진칼, 페이스북, 치매노인인상깊은 뉴스 2020. 1. 10. 23:5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15&aid=0004272018
작년 은행 주담대 45兆 급증…3년만에 '최대폭'
지난달 은행 주택담보대출이 3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주택 매매가 증가한 데다 연말 전세자금 마련을 위한 차입도 늘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19년 12월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news.naver.com
주담대 상승속도도 그렇지만 어마어마하구나
뭐 거품이 터질거라느니하지만
아쉽게도 저금리고 유동성이 풍부한 시대라..
금리 쉽게 올릴 수 있을 거 같음?
레버리지가 잘못쓰면 패망하는 길인데
잘쓰면 점프할 수 있는 기회인듯
결국 인생 확률과 통계다
삼성전자 액면분할 전 2000억 '몰빵' 슈퍼개미 근황은…
50 대 1 액면분할을 앞두고 주가가 250만원을 막 돌파한 2018년 4월 25일. 시장에선 “대형 증권사 서울 강남 지점에서 한 ‘슈퍼개미’가 삼성전자에 2000억원을 ‘몰빵’해 8만 주를 사들였다”는 소문이 급
news.naver.com
이거 나 삼전 샀을 때도 봤던건데
아직도 홀딩중이신가
그냥 2천억 자체가 깡패아닌가
난 자기전에 내가 20억 있는 상상하면 행복하고 잠 잘오던데..
2000억이면..ㅋㅋ 걍 분기배당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먹고 사실듯..
근데 뭐 물렸다 어쨌다 걱정하시는 분들 보면 좀 웃겼다
심지어 홀딩했으면 15% 수익이라는데 10프로면 200억 아닌가 ㅋㅋ
반도건설 "한진칼 경영 참여… 지분 8.28%로 확대"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이 더 고차원의 함수로 바뀌고 있다. 반도건설이 한진칼 지분을 추가 매입하면서 한진그룹 경영 참여를 전격 선언했기 때문이다. 한진칼 4대주주 반도건설은 10일 대호개발 등 3개사를 통해 지난해 1
news.naver.com
정말 드라마를 안봐도 뉴스만 봐도 드라마다
나 예전에 재밌게 봤던 드라마 황금의 제국 생각난다
막 가족들끼리 서로 뒤통수치고 지분하고 경영권가지고 싸우던 그런 드라마였는데
누가 누구랑 손을 잡을까
그냥 가족들끼리 손잡고 그러면 안되나
상놈이라 이해를 잘 못해서..
'반도체 쏠림' 더 커진 증시…'투톱' 빼면 코스피 2200→1700
주식시장에서 반도체주 쏠림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대다수 기업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업황 개선 기대가 큰 반도체에만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반도체주 시가총액 비중은 30%를 넘어섰
news.naver.com
수출할게 별로 없다
'반도체' 빼면
저커버그, AR 안경 등 10년 장기목표 발표
[아이뉴스24 안희권 기자] 매년 신년초에 그해의 개인목표를 게재해왔던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올해는 이제까지와 달리 향후 10년간 장기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공개했다. 그는 매년 해오던 단기과제
news.naver.com
구글도 아닌 애플도 아닌 마소도 아닌 페이스북이 AR 안경 이야기를 하고있다
모르겠다 이 기업 걍 SNS 광고만 많이 때리는 기업이라고 생각하지만
FACEBOOK R&D 나름 빡시게 하고있는 기업이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페이스북, 아마존 등등 나스닥 기술주들
기대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52&aid=0001387044
아들 사망도 모른 채...시신 옆에서 생활한 치매 노인
[앵커] 70대 노모를 혼자 모시고 살던 남성이 집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두 달쯤 전에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치매 증상이 있는 어머니는 이런 사실도 모르고 아들 시신과 함께 생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news.naver.com
아들 사망한지도 모르고 두달정도 생활한 치매노인..
이거보고 너무 슬펐다
노모를 모시는 아들도
자기 소중한 아들이 죽은지도 모른 치매 어머니도
이건 누가 잘못한 것도 아닌데 너무 슬프다
더욱 슬픈건 이런 일이 더 많아질 것 같아서 슬프다
2030년 65세 인구는 4명중 1명이 될거라고 한다 (BY 통계청)
65세 이상 건강한 사람들이 많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 어디 한군데는 무조건 아프고 약을 꾸준히 먹어야만 하는 사람이 있을것이다
당연히 건강보험을 하고있는 우리나라 실정상 지금도 그렇지만
보험료부담이 더 커질듯싶다
그리고 노인사업이 잘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 노인사업조차 '양극화' 가 심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지금도 그렇긴하다 병원에 맡길 수 여력이 안되어 집에서 돌보는 것
요양병원에 있기 어려워 요양원에 가는 것
요양병원에 있는 것
아니면 진짜 돈많으면 VIP실에 있는것
이게 의료가 대한민국은 건강보험이라 나름 평등(?)하게 굴러가고있는데
당장 비행기타고 미국만가도 양극화 OF 양극화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약가인상이 아주 환상적임
약간 이런 idea 가지고 영생할 빅파마나 괜찮은 기업 모아가는 것도 생각중이다
(이미 하고있긴함)
요양병원에서 일했을 때도 굉장히 노인문제나 고령화사회 관련된 사업들 생각 많이했었는데
이쪽 시장은 내 생각엔 커질 것 같다 근데 이건 너도 알고 나도알고 우리 모두 아는 내용이라
잘될쪽이 어딜지 잘 생각해봐야 할듯싶다.
아무튼 늙는다는 게 병든다는 게 정말 남얘기가 아니고
나도 병원에서 많이 보지만 진짜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
잘됐으면 좋겠고 안아팠으면 좋겠다는 마음 뿐이다
'인상깊은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년 1월 19일 인상깊은뉴스 종잣돈, 삼성, 건보료, 전셋값, 국민연금, 넷플릭스 (0) 2020.01.19 200115 인상깊은뉴스 - 물가상승, 차보험료, 외국인, 일자리, 타다 (0) 2020.01.15 1월 9일 인상깊은 뉴스 - 쿠팡, 삼성전자, 부동산, 스타벅스 (0) 2020.01.09 1월 8일 인상깊은뉴스 - 삼성전자 실적, 현대차 개인비행, 해마로푸드서비스 (0) 2020.01.08 20년 1월 5일 인상깊은 뉴스 - 재취업, 양극화, 수출 등 (0) 202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