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
신장과 요로계 장애 대상자 간호 - 요도염, 신우신염성인간호 2018. 6. 16. 15:30
2. 요도염 urethritis 1) 증상 남성 요도염의 증상과 징후는 배뇨 시 작열감과 배뇨곤란이며 흔히 요도구에서 분비물이 나온다. 남성 요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성병으로 임질, ureaplasma, chlamydia, trichomona vaginalis 등에 의해 생긴다. 여성 요도염은 세균성방광염과 증상이 비슷하다. 증상으로는 소양감, 배뇨 시 작열감, 빈뇨, 야뇨증 등이 있다. 에스트로겐의 저하로 인해 폐경기 여성에게 가장 흔하다. 2) 치료와 간호 성병과 감염이 원인이면 적절한 항생제요법으로 치료한다. 트리코모나스에 의한 요도염은 metronidazole(flagyl)이 특효약이다. 폐경 후 여성은 에스트로겐 질 크림을 사용한다. 3. 신우신염 방광염과 비교해서 잘 알아두자 신우신염은 신우..
-
신장과 요로계 대상자 간호 - 방광염성인간호 2018. 6. 16. 13:46
1. 방광염 방광의 염증으로 요로감염중에서 가장 흔하다. 1) 병태생리 감염성 인자는 세균이 가장 흔하며 전형적으로 외부 요도구에서 요도를 타고 방광으로 침입한다. 노인에게 무증상 세균뇨는 흔한 편이며 일반적으로 이를 경한상태로 간주한다. 폐쇄, 역류, 결석, 당뇨병이 없을 경우, 무증상세균뇨가 급성감염이나 신기능 부전으로 진전되지는 않는다. 2) 원인 감염성방광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병원체와 요로기구의 삽입을 들 수 있다. 병원체는 대장균이 2/3 이상으로 가장 흔하며 포도상구균, 폐렴간균, 장내 세균 등이 있다. 요로감염의 흔한 유발요인은 요로 카테터이다. 유치도뇨관을 지닌 대상자의 50%정도가 도뇨관 삽입 후 1주일 안에 감염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러한 요로카테터를 관리하는 방법 - 활동성 질병 또는..
-
신장과 요로계 장애 대상자 간호 - 요정체성인간호 2018. 6. 16. 12:49
요정체 1)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방광의 출구가 막힌 것이다. (전립선비대, 종양, 결석 등이 막아서 생긴다.) 2) 병태생리 요정체는 요로감염과 결석을 형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요로계 구조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질환이다. 방광에 소변이 계속 차게 되면 방광내압이 올라가 괄약근의 기능을 약화시킨다. 방광내압의 상승으로 배뇨근이 두꺼워지고 요로게실을 형성하게 된다. 결국에는 나중에 수신증까지 발생하고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3) 증상 치골상부에 불편감과 팽만감이 있고 불안정하며 발한이 있다. 한 번에 25~50ml 정도의 양을 배뇨하면 요정체를 의미한다. 4) 진단검사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하여 100ml 이상의 소변이 방광내에 남아 있으면 요정체를 의미한다. 잔뇨량은 정상적으로 전체 방광용량의 2..